본문 바로가기
관심사

과학 방역 잘 되고 있나? 켄타우로스 확진자 발생

by 이제시작 2022. 7. 14.
반응형

판데믹 상황이 끝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도 추가로 나오고 있는 상황이고, 확진자 수도 같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켄타우로스 첫 확진자가 나왔다고 보도했습니다. 과연 한국의 과학 방역이라는 것은 무엇인지? 뭔가 대책은 있는 것인지 빨리 수립하여 시행해 주시길 바랍니다.

 

1. 과학 방역 내세운 윤정부 첫 방역 대책은 '자율 책임'

정부는 코로나19의 확진자 발생건의 증가에 따라 재유행에 대비해 백신 4차 접종 대상을 만 50세 이상으로 확대 한다고 발표하였습니다. 격리 의무는 기존과 같이 7일을 유지합니다. 사회적 거리두기를 재도입하지 않는 대신 개인의 '자발적 거리두기'에 맡기기로 했습니다. 다만 '과학 방역'을 내세운 윤정부의 실질적인 첫 코로나 대응 방안이 기존 대책과 크게 다르지 않아 보인다. 코로나 재유행을 앞두고 있는 상황에 체감할 만한 변화가 없어 얼마나 효과를 거둘지는 알 수 없다.

 

과연 이번 대책이 과학 방역과 거리가 있는것인지 의문스러울 정도입니다. '자율책임', '사회경제적 편익' 등이 방역 조치 결정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이에 정 위원장은 "과학적인 코로나 위기관리로 이해해 달라"며 최고의 전문가들이 모여 집단지성으로 결론을 내면 그것도 하나의 과학적 근거로 의학에선 간주한다"라고 말했다. 또 "이번 겨울만 잘 넘기면 내년부터는 훨씬 다른 세상에 살 수 있다고 믿는다"라고 했다.

대체 무슨 소리인지 과학 방역 왜 이렇게 이해하기도 힘든지 모르겠습니다.

 

2. 켄타우로스 확진자 발생

코로나19 바이러스 중 최악의 버전이라 불리는 'BA.2.75(켄타우로스)'에 감염된 확진자가 한국에서 발생했다고 합니다. 현재 국내에서 우세종이 될 것으로 보이는 BA.5에 더해 켄타우로스까지 퍼지게 된다면 기존 예측했던 규모보다 더 커질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켄타우로스의 특징은 빠른 전파력이다. 인도 과학산업여ㄴ구협의회 산하 유전체, 통합생물연구소의 과학자 지피 투크랄은 해당 변이가 인도에서 거리가 떨어진 여러 지역에서 확인됐고 다른 변이보다 퍼지는 속도가 빠른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습니다. 미국 아칸소주립대 연구에 따르면 최근 3개월 간 인도 내 켄타우로스의 확산 속도는 BA.5 보다 3배 이상 빠르다고 합니다. 미국 의료센터인 메이요클리닉의 임상 바이러스학 책임자 매슈 빈이커는 "많은 결론을 내기에는 아직 너무 이르다"면서도 "그러나 특히 인도에서 전파 속도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우려했습니다.

 

BA.2.75 켄타우로스 변이 바이러스는 이전 하위변이와 비교해 스파이크(돌기) 단백지에 돌연변이가 많아 바이러스가 더 효과적으로 세포와 결합하고 백신이나 감연으로 형성된 항체를 회피할 수 있어 돌파 감염이나 재감염 위험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아직 확산 초기여서 다른 오미크론 하위변이와 비교해 중증 증상을 더 심각하게 유발하는지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3. 코로나 재확산에 다시 무너지는 일상

곧 본격적인 여름 휴가가 다가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코로나 재확산 여파로 여행을 취소하는 현상이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직장에서도 해외여행을 금지 시키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대로 끝날 것만 같던 코로나19가 다시 위세를 떨치면서 시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코로나로 인해 2년 동안 휴가를 제대로 즐기지 못한 탓에 올해는 애써 준비했지만 포기하는 등 일상에 또다시 차질을 빚기 시작했다. 여행업계를 비롯한 소상공인 사장님들은 더 걱정을 하고 계실 것 같다.

 

우리는 할 수 있는 것이 없는 것일까? WHO 에서는 마스크를 다시 쓰고 거리두기 하자고 하는 상황인 것 같다. 한국에서 거리두기가 다시 시행이 된다면 경제적로 붕괴가 될 정도로 힘들지 않을까 한다. 과학 방역 = '자율 책임'으로 인지하고 시민들 모두가 다시 마스크를 잘 써야 할 듯합니다. 음식점들은 다시 배달은 늘고 홀에는 사람이 없을까 걱정이 되네요. 눈치껏 알아서 조심하는 수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반응형

댓글